정예씨 출판사 jeongye-c-publishers.com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정예씨 출판사 jeongye-c-publishers.com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 새책
      • └ .
      • └
      • └ 프로젝트 티키타카 S2+S1
      • └문화예술멘토포럼
      • └건축영화 1902
      • └ 부동산 리노베이션 기획
      • └도시에 살 권리 - 세계도시에서 15분 도시로
      • └도쿄R부동산 이렇게 일 합니다
      • └우리가 알아야 할 도시디자인101
      • └해석과 착상
      • └당신의 라이프스타일을 중개합니다: 도쿄R부동산
      • └스쿨 블루프린트
      • └사람의가치
      • └신한옥 시리즈
      • └건축의덫(장편소설)
      • └건축평단
    • 행사 소식
    • 자료실
      • 도시건축
      • 건축가
      • 목차검색
      • ├와이드
      • ├건축가
      • └건축문화

검색 레이어

정예씨 출판사 jeongye-c-publishers.com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도시에살권리

  • 카를로스 모레노와 15분 도시 - 1/5

    2024.06.04 by 정예씨

  • [서평] 카를로스 모레노의 <도시에 살 권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24. 04.

    2024.06.04 by 정예씨

  • 카를로스 모레노 "도시 혁신으로서의 15분 도시" - 고려대 & 서울대 건축학과 특강

    2024.05.23 by 정예씨

  • 서울연구원, 서울시 생활권계획 변천 40여 년간 기록 발간

    2024.03.25 by 정예씨

  • [EBS] 이 도시를 어떻게 할 것인가 - 카를로스 모레노 / EBS 위대한 수업 Great Minds

    2023.11.08 by 정예씨

  • 제주에 15분 도시가 필요한 이유는

    2023.10.24 by 정예씨

  • 15분 도시, 작은 마을도 가능할까? / KBS 2023.10.03.

    2023.10.04 by 정예씨

  • [Interview] KBS 카를로스 모레노 교수가 말하는 15분 도시는?

    2023.09.26 by 정예씨

카를로스 모레노와 15분 도시 - 1/5

저자 카를로스 모레노에 대한 문의에 기민한 대응이 어려워, 콜롬비아 "El Tiempo"의 최신 인터뷰 기사를 우리말로 옮겨 대신합니다. 더 궁금하신 사항은 이메일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기사 전문 보기] 'La solución al cambio climático no es tecnología, es cambiar nuestro modo de vida' 'La solución al cambio climático no es tecnología, es cambiar nuestro modo de vida'El boyacense Carlos Moreno, uno de los pensadores del urbanismo global, cuenta su historia en BOCAS.www.el..

새책/└도시에 살 권리 - 세계도시에서 15분 도시로 2024. 6. 4. 19:19

[서평] 카를로스 모레노의 <도시에 살 권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24. 04.

서평: 이용균(전남대 지리교육과 교수)  카를로스 모레노(Carlos Moreno)는 복잡성 사고를 통한 도시연구로 유명한 학자이다. 콜롬비아에서 태어나 프랑스에서 공부하였고, 현재 파리 제1 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15분 도시’라는 주장으로 유명해진 학자이다. 그는 걷기와 자전거로 15분 이내의 거리에 일상에 필요한 주요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토대로 고밀도의 도시구조를 강조한다. 복잡성의 관점에서 그가 주목한 것은 도시의 주요 공간, 예를 들어 학교, 공공공간, 주차장, 도서관 등이 하루 24시간 중 절반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복잡성 사고에 의하면, 비어 있으면서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것은 신진대사가 원활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도시공간의 고밀도 이용과 함께, 이들 공간의..

새책/└도시에 살 권리 - 세계도시에서 15분 도시로 2024. 6. 4. 18:00

카를로스 모레노 "도시 혁신으로서의 15분 도시" - 고려대 & 서울대 건축학과 특강

의 저자 카를로스 모레노 교수님의 서울 방문 소식을 전합니다. 오는 29일, 31일엔 각각 고려대와 서울대에서 특강이 예정돼 있습니다. 이번 두 차례의 특강은 전 세계 도시들의 상황과 비전, 도시 혁신으로서 15분 도시, 아울러 한국 도시들의 이슈를 공유하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15분 도시의 비전: 카를로스 모레노의 혁신적 도시계획- 고려대 건축학과 60주년 기념 세미나- 2024. 5. 29. (수) 오후 4:00~5:30- 고려대 안암캠퍼스 신공학관 B101 - 문의 : 도시계획 및 도시설계연구실 02-3290-3914 / seokitect@naver.com      도시에 살 권리 - 세계도시에서 15분 도시로- 서울대 건축학과 봄 특강 시리즈- 2024. 5. 31. (금) 오후 6:30~..

행사 소식 2024. 5. 23. 15:33

서울연구원, 서울시 생활권계획 변천 40여 년간 기록 발간

서울시 생활권계획의 변천과정과 발전방향: 1980~2023년까지의 기록 지난 3월 7일 서울연구원은 서울시 생활권계획의 변천과정을 기록한 보고서를 발간하였습니다. 이 보고서는 서울시 생활권계획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 구단위 도시기본계획을 처음으로 수립한 1981년 '생활권계획' 부터 지방자치제 실시와 함께 수립된 1994년 '권역별계획', 서울을 5개권역(대생활권)으로 구분하여 수립한 2007년 '권역별 발전계획', 5개 권역과 116개 지역생활권을 대상으로 2018년 수립한 '2030 서울 생활권계획'까지를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는 일생생활권 단위로 도시계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생활권계획'을 제도화하는 방안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이에 따라 생활권계획의 법정화와 함께,..

새책/└도시에 살 권리 - 세계도시에서 15분 도시로 2024. 3. 25. 12:01

[EBS] 이 도시를 어떻게 할 것인가 - 카를로스 모레노 / EBS 위대한 수업 Great Minds

전세계 석학들의 명품 강의로 소문난 [EBS] 위대한 수업 Great Minds 에 ≪도시에 살 권리≫의 저자 카를로스 모레노 강의를 추천합니다. 카를로스 모레노의 강의 "이 도시를 어떻게 할 것인가"는 현대 도시가 처해 있는 여러 가지 복잡한 문제와 앞으로의 우리 삶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합니다. ≪도시에 살 권리≫와 함께 도시와 도시에서의 삶에 깊이 있는 통찰을 느껴 보세요. 우리가 낸 수신료 가운데 70원이 이러한 명품 강의를 언제 어디서나 볼 수 있도록 한다는 데 감사할 따름입니다! [EBS] 위대한 수업 Great Minds 이 도시를 어떻게 할 것인가 - 카를로스 모레노 https://home.ebs.co.kr/greatminds/replay/6/list?courseId=40023168&step..

새책/└도시에 살 권리 - 세계도시에서 15분 도시로 2023. 11. 8. 12:00

제주에 15분 도시가 필요한 이유는

제주대학교 김형준 교수는 15분 도시를 제주에 도입하는 필요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요약) 유럽에서 시작한 15분 도시처럼, 우리나라 경우에는 최상위 법정 도시계획인 도시기본계획에 생활권이란 개념이 들어있다. 2017년에 수립된 도시기본계획은 제주를 대생활권, 중생활권, 소생활권으로 나누고 있다. 2개의 대생활권(제주시, 서귀포시), 대생활권을 도심지역과 읍면지역 두 개로 나눈 4개의 중생활권(제주시 도심, 제주시 읍면, 서귀포시 도심, 서귀포시 읍면)으로 나누고 있다. 이 기본계획에 소생활권은 없다. 읍면 지역을 보면 병의원, 유치원 등과 같은 시설에 접근성이 육지보다 현저하게 떨어진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5분 도시 제주가 등장하게 된 것이다. 즉 생활권을 조정하고 ..

새책/└도시에 살 권리 - 세계도시에서 15분 도시로 2023. 10. 24. 17:16

15분 도시, 작은 마을도 가능할까? / KBS 2023.10.03.

거대도시나 대도시가 아닌, 작은 시골 마을에서도 실현 가능한 '15분 도시'를 KBS의 취재영상으로 만나 보세요. 프랑스 남부, 인구 4,700명 규모의 작은 시골 마을인 생띨레흐 드 브렛마스(Saint-Hilaire-de-Brethmas)시에서는 자전거 전용도로를 가장 먼저 설치한 뒤, 학교 주변 환승 주차장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대다수 주민들이 가까운 주변지역으로 출퇴근하면서 자동차를 이용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특히 마을 중심에 건강의료센터가 최근에 문을 열었고 장기적으로 식당, 카페, 식료품점이 같이 두고 다중(多重)으로 이용하는 공간이 조성될 계획이라고 합니다. 결국 지역 여건과 특성에 맞게 1)자전거 중심의 이동환경을 조성하고 2)생활필수시설들을 밀집시켜 15분 도시를 실현한다는 구상입니다. ..

새책/└도시에 살 권리 - 세계도시에서 15분 도시로 2023. 10. 4. 20:01

[Interview] KBS 카를로스 모레노 교수가 말하는 15분 도시는?

민선8기 제주도정은 15분 도시를 핵심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는데요. 제주도와의 정책협업을 진행한 카를로스 모레노 교수가 15분도시의 지향 가치와 핵심 요소에 대해 요약합니다. 그는 특히 15분 도시에 정답이 있는 것은 아니며 중요한 것은 자기 지역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근접성과 탄소중립, 다중사용과 행복한이웃 등에 대한 원칙들을 오랜 기간에 걸쳐 자리잡게 하는 것이라고 합니다.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778141  카를로스 모레노 교수가 말하는 15분 도시는?[앵커] 지난 시간 민선 8기 제주도정에서 15분 도시를 추진하는 배경을 전해드렸는데요, 15분 도시 개념을...news.kbs.co.kr 국내에서 가장 먼저 15분 도시를 표방하며 추..

새책/└도시에 살 권리 - 세계도시에서 15분 도시로 2023. 9. 26. 20:47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정예씨 출판사 jeongye-c-publishers.com © Magazine Lab
인스타그램 메일

티스토리툴바